재테크의 기본 통장 쪼개기 |
재테크에 '재' 자도 모르는 저조차도 많이 들어본 방법.
통.장.쪼.개.기.
돈 관리하는 노하우의 기본은 통장쪼개기가 아닌가 합니다.
덮어놓고 긁다보면 신용카드 값으로 월급이 통장을 '스쳐 지나간다' 는 말을
몸소 겪고 있을텐데요.
이런 상황을 겪지 않기 위해 가장 기본적인 통장 쪼개기에 대해서 알려드립니다!
▶들어가기 전: 지출용도 심리계좌 만들기
통장 쪼개기를 현실에서 하기 전에
자신의 생각속에서 어떤 형태로 통장을 쪼개야 할 지 결정합니다.
월급통장 하나에 모든 돈을 받아놓고, 지출구분 없이 다용도로 쓰다보면
정작 중요한 곳에 쓸 돈이 없는 경우가 많습니다.
보통 용도별로
급여통장/지출용통장/비상금통장/목돈만들기통장/이자붙이기통장
이정도를 만들어두시면 문제 없습니다.
이제 하나하나씩 알아볼께요!
1.급여통장
▷월급을 수령하는 통장
급여통장은 매달 월급을 받는 통장으로,
직장에서 정해진 급여통장이 있더라도 일반은행에서도 매달 일정 금액이상 입금하면 급여통장으로 할 수 있습니다.
추천계좌: 소액 고금리의 자유입출금식 일반은행통장
장점: 타행이체, 인터넷뱅킹 수수료가 무료
급여통장은 주 통장이 아니며, 수수료면제로 이체업무를 많이 합니다.
고금리를 받을 수 있는 액수까지만 남겨두고 모조리 용도별 통장으로 자동이체!
2.지출용통장
▷통신비, 교통비, 임대료 등 고정비용과 생활비를 지출하는 통장
지출되는 통장이 여러개이면, 자신의 소비를 파악하지 못해 나도 모르게 과소비 할 수 있겠죠?
한 눈에 지출을 보면, 돈 관리의 자극제가 될 수 있습니다.
추천계좌: 증권사 CMA통장
장점: 매일 이자가 붙고, 제휴된 일반은행 수수료 면제, 자유롭게 입출금 가능,
인터넷뱅킹, 체크카드, 공과금납부, 자동이체도 가능
CMA통장은 매일 이자가 붙기 때문에 언제 입출금해야 할 지 모르는 지출용 통장으로 적당합니다.
또한 제휴된 일반은행 수수료 면제에 공과금납부도 되니 생활비 통장으로 딱이죠!
3.비상금, 목적자금 통장
▷만약의 경우를 대비해 또는 단기간에 쓸 수 있는 큰 돈을 준비하는 통장
갑자기 돈이 급할 때 정기예적금을 깨야 하는 경우를 방지하는 통장.
또는 여행자금 등 목적을 두고 돈을 모으는 통장입니다.
추천계좌: CMA통장
장점: 하루만 맡겨도 이자가 붙기 때문에 언제 출금해야 할지 모르는 비상금통장으로 좋습니다.
조금씩 아껴서 종자돈을 만들어야 겠다는 욕심도 생기게 되고,
뚜렷한 목적을 가지고 만든 통장이라면 보다 효율적으로 돈을 모을 수 있습니다.
4.목돈 만들기용 통장
▷매달 받는 월급을 모아서 목돈을 모으는 통장
추천계좌: 정기적금
적금통장은 금리가 일반 통장에 비해서 매우매우 높습니다.
1년 단위로 적금을 드는 것이 적당하며
매달 지출되는 금액을 제외하고 여유자금을 적금에 넣습니다.
예를 들면 매달 10만원 씩 12개월을 넣으면
원금 10만 * 12개월 = 원금 120만원과
금리 4%로 계산된 이자 2만6천원을 받습니다.
만약 100만원씩 넣으신다면 26만원이라니 괜찮지 않나요?
이렇게 정기적금에서 1년 단위로 모은 목돈은 정기예금으로 돌립니다.
5.이자 붙이기용 통장
▷정기적금으로 만든 목돈을 굴리는 통장
추천계좌: 정기예금
정기적금의 경우에는 매달 일정액을 모으기 위해서 사용했다면
정기예금은 모은 돈을 한번에 예치해서 더 큰 이자를 받는 용도입니다.
(정기적금은 매달 입금하는 돈의 남은 예치기간으로 이자를 계산하기 때문에 목돈을 넣기에는 부적합)
정기예금은 정직하게 공시된 금리를 목돈에 붙여주 준답니다.
이렇게 통장쪼개기가 처음에는 생소해도
조금만 알아보면 재테크하는 재미도 있답니다.
피같은 내 돈의 흐름을 파악할 수도 있고,
일단 한 번 각 계좌마다 자동이체와 연동카드를 정해놓으면
오히려 딱 딱 체계적으로 관리되는 돈에 뿌듯함을 느끼게 될 것 같아요!
'재테크' 카테고리의 다른 글
예금, 적금을 꼭 해야 하는 사람 (0) | 2015.04.19 |
---|---|
풍차돌리기 적금, 예금 하는법! 재테크로 좋을까? (0) | 2015.04.19 |
금리 높은 예금 적금 재테크정보★ (0) | 2015.04.19 |
연령별 제테크 노하우 알아보기 (0) | 2015.04.18 |
즐기며 돈버는 이색 재테크! (0) | 2015.04.1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