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재테크

재직자 청년내일채움공제 플러스 신청 조건 만기시 수령액

by :매니아: 2023. 4. 5.
반응형

청년들의 취업에 도움이 되는 정책인 청년내일채움공제는 이미 많은 사람들에게 알려져 있다.

청년내일채움공제는 중소기업에 취업한 청년들을 대상으로 정부가 지원하는 목돈 마련 사업이다. 신규 입사자를 위한 청년내일채움공제는 물론 기존 재직자를 위한 청년내일 채움 공제가 있는데 가입조건은 물론, 가입기간, 납입금액, 최종 수령액 등 모두 상이하다.

기존 청년내일채움 공제

따라서 현재 본인에게 맞는 것을 확인하고 선택해야 한다. 그러나 조건에 해당되더라도 예산이 한정되어 있기 때문에 모두가 수혜를 받을 수는 없다. 게다가 2023년의 경우에는 기존(2022년)에 비해 규모와 예산이 크게 축소되었다.

기존의 청년내일채움공제 하면 2년간 월 12만5천원을 납입하여 최종적으로 1,200만원을 수령하는 것이다. 가입자는 실제로 300만원만 납입만 하면 정부와 기업에서 총 900만원의 추가 기여금을 납입하여 만기 시 청년이 모두 가져가는 방식이다. 수익률로 따지자면 무려 300%에 달하는 어마어마한 지원 혜택이다.

 

2023 변경점

신규 입사자가 가입을 할 수 있는 [ 청년내일채움공제 ]와 재직자가 가입할 수 있는 [재직자 내일채움공제 ] 두 가지 모두 2023년부터 변경된 부분이 있다. 아무래도 예산이 많이 부족하기 때문에 약간의 조건 변경 및 예산이 축소되었다. 2023년 청년내일채움공제는 기존과 비교해서 어떻게 변경되었는지 자세히 알아보자.

[ 청년내일채움공제 ]

신규 입사자가 가입을 하는 상품이다. 가입대상은 만 15~34세 이하의 청년(병역 의무자는 그만큼 연장)이며 연 소득이 세전 기준으로 3,600만원 이하여야 하고 정규직 채용일로부터 6개월 이내에 신청할 수 있다. 또한, 고용보험 가입 이력이 없거나 12개월 이하여야 한다. 가입 조건 자체는 기존과 동일하다.

그러나 지원 기업에서 변경되었는데 기존에는 고용보험 피보험자가 5명 이상인 중소기업이었지만, 2023년 이후에는 50인 미만의 중소기업으로 변경되었다. 그러니까 규모에 대한 제약사항이 더 커진 것.

 

 

 

가입기간은 기존과 동일하게 2년이지만, 가입자가 납부해야 하는 금액이 2년간 300만원에서 400만원으로 늘었다. 기업기여금은 300만원에서 400만원, 정부기여금은 600만원에서 400만원으로 조정되었다.

결론적으로 가입자가 2년간 총 400만원을 납부하여 1200만원을 수령하게 된다. 가입조건도 까다로워졌고, 지원금액도 줄어든 셈이다.

[ 재직자 내일채움공제 플러스 ]

 

 

2023 재직자 내일채움공제 플러스 가입조건 및 변경점

재직자 내일채움공제의 경우 2023년에는 [청년 재직자 내일채움공제 플러스]로 변경되었다. 가입 기간부터 차이가 나는데 기존 5년 가입 기간의 경우 가입자에게 큰 리스크로 다가왔다. 내채공 가입을 유지한다는 것은 그만큼 하나의 기업에서 일을 해야 한다는 것이다. 중간에 이직이라도 하면 그동안 쌓은 기여금은 모두 날아간다.

그러나 가입 기간이 3년으로 축소됨에 따라 이직에 따른 리스크가 크게 줄었다. 다만, 가입기간이 줄어든 만큼 만기 수령액 또한 기존 3000만원에서 1800만원으로 줄었다. 재직자 부담금 또한 줄었지만 기간을 고려한다면 오히라 약간 증가한 셈이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가입기간 자체가 줄었기 때문에 3년만에 목돈을 만들 수 있으며 자신의 몸값을 더 올릴 수 있는 기회가 생긴 셈이다. 지원금 규모가 축소되었지만 리스크가 줄었기 때문에 오히려 좋은 상황에 연출될 수도 있는 셈이다.

[ 지원 규모 ]

지원 규모는 크게 줄었다. 수혜인원은 물론 업종 및 기업규모가 축소되었으며 적립금 비중이 가입자가 불리하도록 변경되었다. 내채공만 보더라도 청년의 납입금이 100만원 늘었으니 말이다. 2023년에는 예산이 기존대비 51% 삭감되어 6375억원으로 크게 줄었기 때문에 어쩔 수 없는 부분이다.

 

 

 

지원 규모 및 가입조건이 변경되었기 때문에 수혜 대상이었던 사람들조차도 가입을 하지 못하는 상황이 발생할 수 있다. 지금보다 예산이 넉넉했던 2022년 조차도 하반기에 예산 고갈로 가입을 못하는 상황이 있었는데, 2023년에는 구멍이 더욱 좁아질 것으로 보인다.

[ 중복 가입 ]

가입조건 및 지원한도는 크게 줄었지만 대신 청년내일저축계좌와 청년도약계좌 등 청년을 위한 목돈 지원 상품에 중복 가입이 가능하도록 변경되었다. 따라서 내체공 자체의 지원은 줄었지만 타 청년 지원 사업 참여를 통해서 어느 정도 이득을 챙길 수 있게 되었다.

반응형